해드림출판사

돌아보고 또 돌아봐도 > 전체신간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고객센터
상담시간 : 오전 09:00 ~ 오후: 05:30
(주말 및 공휴일 휴무)
02.2612-5552
FAX:02.2688.5568

b3fd9ab59d168c7d4b7f2025f8741ecc_1583542148_9783.jpg 


작성일 : 2023-02-15 17:50
  • 돌아보고 또 돌아봐도
  • 한판암
  • 수필in
  • 2023년 02월 02일
  • 신국판
  • 979-11-92835-03-7
  • 15,000원

본문

출판과 문학에서 특별한 인연은 계속되고

 

인터넷 서점에서 한판암을 검색하면 그동안 출간한 18권의 수필집이 어느 수필가의 자취소리처럼 줄줄이 드러난다. 첫 수필집 [찬밥과 더운밥] 20051105일 출간된 이후, 이번 수필집 [돌아보고 또 돌아봐도]202322일 날을 받아 출간되었다. 2005년 끝 무렵에서 첫 수필집이 나왔으니 지난 19녀여 동안 매년 한 권의 수필집을 출간한 셈이다.

물론 18권의 책 가운데는 [절기와 습속 들춰보기], [반거충이의 말밭산책]처럼 순수 수필집이라기보다 에세이 형식으로 쓴 교양도서도 있고, [가고파의 고향 마산]처럼 경남 마산만을 소재로 하여 마산이 고향인 이들에게 자부심과 애틋한 정서를 느끼게 할 수필집도 있다. 일종의 테마수필집인 셈이다.

 

또한, 18권의 도서 가운데 [반거충이의 말밭산책][8년의 숨가쁜 동행]은 일종의 우수도서인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학나눔 도서로 선정이 되었다. 지난 19년 동안 한판암 교수가 출간한 도서 가운데는 아주 특별한 의미가 부여된 수필집 4권이 있다. 손주 양육기를 수필로 엮은 [파랑새가 머문자국], [은발 할아버지의 손주 양육기], [초딩 손주와 우당탕탕], [8년의 숨가쁜 동행] 등이 그것이다. 손자를 생후 39일 되던 날부터 14년 동안 양육하면서, 손자에게 영원한 기록으로 남겨줄 글을 써오며 출간한 책이 무려 4권이나 된다. 갑작스러운 사정으로 아무 준비도 없이 갓 태어난 손주를 키우면서 겪은 애환과 지혜 등 손주 양육에 꼭 필요한 이야기들을 묶은 것이다

 

 

18권의 도서 가운데 가장 의미 있는 수필집 4

 

이들 4권의 책은 어느 날 벼락 치듯이 할아버지 품으로 파고든 손자와 밀고 당기며 수놓은 씨줄과 날줄의 더덜없는 흔적이요, 편린이며 적바림이다. 또한, 순백한 영혼의 손자가 맑은 눈으로 세상을 깨우쳐 가는 날갯짓이다.

한판암 수필가는 손자의 유소년 뜨락을 가꾸고 채색하며 마음과 눈길이 머물던 순간들을 이들 책을 통해 생생하게 소묘하였다. 손자의 소소한 일상을 더덜이 없이 드러내는 민낯으로써 할아버지라는 거울을 통해 투영되는 손자의 진면목인 셈이다. 좀 더 성장해서는 갓 초등학교를 입학한 풋내기 손주와 서두르며 진동한동 세월의 징검돌을 정신없이 건넌 흔적이요, 할아버지와 손자가 동행하는 삶의 맑고 밝은 정신과 영혼의 생생한 자취소리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들 책은 고삐 풀린 망아지 같이 나부대는 손주와 덜컹거리면서 하루해를 여닫으며 살아가는 일상의 고백이며 적바림이지만. 무엇보다 손자 양육 에세이라는 점에서, 직접 손주를 양육하는 부모가 손자를 정서적으로 충만하게 키우는 데 도움이 되는 책이다. 에세이로 편안하게 읽으면서 아이를 잘 키우는 방법을 고민하고 찾아보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경남대학교 명예교수이자 수필가인 저자의 수필집이 나올 때마다 항상 하는 이야기지만 지금까지 출간된 열여덟 권의 도서는 필자(해드림출판사 이승훈)가 직접 만들었다. 첫 수필집인 [찬밥과 더운밥][내가 사는 이유]는 필자가 편집장으로 근무하던 출판사에서 직접 맡아 작업하였고, 나머지 도서는 해드림출판사(수필in 포함)에서 출간한 것이다. 출판과 문학에서 한판암 수필가와 필자의 인연은 이처럼 아주 특별하게 이어져오는데, 어느덧 20여 년이 훌쩍 넘어 저자는 70대의 마지막 해를 보내고, 필자는 육십 중반으로 들어섰다.

 

 

삶을 간추렸던 흔적들이 사방에 널브러진 채

갈무리되던 것을 정리해 갈래짓고

산수의 새해를 맞고 싶어

 

이번 수필집 [돌아보고 또 돌아봐도]를 펴내며, 저자의 회한을 간추려 본다.

 

[삶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너그럽고 어질며 온후하고 덕스럽게를 뜻하는 관인후덕(寬仁厚德)”의 품성에 도저히 다다를 수 없으며 까마득하고 아득하다. 게다가 선현들이 일깨워 준 강이 깊으면 물이 고요하다라는 강심수정(江深水靜)”의 경지는 언감생심으로 영원히 넘볼 수 없는 피안의 동경일 따름이다.

삶을 간추렸던 흔적들이 사방에 널브러진 채 갈무리되던 것을 정리해 갈래짓고 산수의 새해를 맞고 싶었다. 이 같은 소박한 바람을 위해 씨줄과 날줄로 엮어 줄 세우고 무더기 지어 이름 짓기로 했다. 지난 2021년 초부터 2022년 정월까지 써서 컴퓨터에 무질서하게 방치하였던 글 72개를 책으로 묶어내려 한다.

 

이 글집의 대문에는 돌아보고 또 돌아보고라는 문패를 달기로 했고, 모두 6개의 영역으로 나뉘어 눈물 찔끔거리는 버릇’, ‘물방울이 돌을 뚫을까’, ‘누구를 얼마나 닮았을까’, ‘부당한 통행세 징수’, ‘들국화 예찬’, ‘부엉이 소품등으로 명명했다.

 

이번에 펴내는 책이 내게는 소중할지라도 전문가나 독자의 드높은 기준에 견주면 빈 쭉정이가 하도 많아 화조재리(禍棗災梨)를 면키 어려울 게다. 비록 그럴지라도 숨김없는 삶의 증적이며 사고의 범주에서 건져냈던 진솔한 혼이 응축되었기에 또 다른 나의 단면이 틀림없다.

 

세월이 지날수록 주위에서 괄호 밖으로 내몰리는 심정이다. 사회적인 참여 기회나 주위의 지인들과 만남이 점점 줄어들고 역할이 축소되는 현실을 받아들이기 어려울 뿐 아니라 마뜩잖고 섭섭하다. 게다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기승을 부리며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되면서 부쩍 심하게 움츠러들었다. 이런 세월에 존재 이유를 찾으며 글을 쓰는 낙이라도 맘껏 향유하면서 내 얘기를 쉼 없이 조곤조곤 이어갈 참이다. 아름답고 보람된 노년의 희망가를 흥얼대며…….]

04 서문70대를 마무리하면서

 

 

. 눈물 찔끔거리는 버릇

16 돌아보고 또 돌아봐도

21 눈물 찔끔거리는 버릇

26 날지도 울지도 않는다

30 노인을 생각한다

35 생이라는 화두

40 허전했던 아내의 생일

44 세월이 간다

48 삶을 생각하다가

53 등산로 옹벽에 새겨진 화두

58 아무거나 경험하려 들지 마소

63 최상의 선은 물과 같다

67 어린 시절의 여름 소환

 

 

. 물방울이 돌을 뚫을까

74 물방울이 돌을 뚫을까

77 임인년을 상징하는 호랑이의 되새김

81 우리말을 혼탁 시킨 일제 그림자

88 족보를 들여다보다가

93 접두사로서 도읍 도()’ 자의 특별한 의미

98 십장생도와 만남

102 우리의 사자성어와 조우

108 오도송을 넘겨다보기

115 동양화 건너다보기

121 복숭아에 얽힌 일화

126 되새기는 악어의 눈물

131 위기십결 이야기

 

 

. 누구를 얼마나 닮았을까

137 누구를 얼마나 닮았을까

141 선친 이야기

146 좋아하는 일을 해왔을까

151 메꿀 수 없는 세월의 간극

156 부스터 샷에 즈음하여

160 수선만 떨었던 벌초

165 맏이와 막내의 나이 차이 22

169 호국의 얼과 흔적을 찾아서

174 누군가에 받았던 용돈에 대한 단상

178 학위복 유감

183 여덟 번째의 등산화

188 정장 유감

 

 

. 부당한 통행세 징수

194 부당한 통행세 징수

199 언감생심의 도전에 감동하여

204 까치 까치설날은

211 어벙한 셰프(chef)에 대한 맹목적 신뢰

216 친구들과 만남을 위한 아내의 나들이

221 신경 쓰였던 혈당 수치

225 엄나무 순

229 매실청을 담그며

234 얼결에 담근 마늘장아찌

239 부부의 제주 나들이

243 나그네가 제주에서 마주했던 음식의 편린

248 다시 만난 제주

 

 

. 들국화 예찬

255 들국화 예찬

260 가을이 무르익은 아파트 뜰

264 이름도 폰 번호도 몰라요

269 봄이 오고 있음에도

273 성큼성큼 다가오는 봄

277 여름 등산을 위한 워밍업

282 아닌 밤중에 벌목꾼

287 또다시 겨울의 초입에 서서

291 가파른 비탈의 600개 계단

296 어느 실버타운의 이야기

302 언제 이리도 어엿하게 성장했을까?

306 장맛비가 멎은 사이 잽싸게 등산

 

 

. 부엉이 소품

312 부엉이 소품

316 김장 모습이 자취를 감췄다

320 지난 다이어리를 들추다가

325 표사(表辭)를 쓸 때

331 책을 펴내는 마음

335 천역의 터널 끝을 기대하며

340 나의 롤 모델 L 박사

344 우리말 겨루기와 J 여사

349 장관을 그리도 하고플까

354 정지용문학관을 다녀와서

360 아흔넷에 책을 펴내시는 열정

364 과거제도 엿보기

 

 

저자는 경남 마산 경남대학교에서 평생 젊은이들을 가르치다 정년 퇴임했다.

공과대학 교수와는 다소 거리가 멀어 보이는 듯하지만, 일찍이 20여 년 전 수필가로 데뷔하여 어느덧 중견 수필가로도 문단에 자리하였다.

 

그간, 그래도 걸어야 한다, 황혼의 뜨락 풍경, 파랑새가 머문 자국, 절기와 습속 들춰보기, 8년의 숨가쁜 동행(2014년 세종도서 선정), 초딩 손주와 우당탕탕, 말밭 산책(2019년 문학나눔 선정 도서) 18권여 에세이집 등을 발표했다.

 

현재, 마산문인협회와 경남문인협회를 비롯해 한국문인협회 회원으로 적을 두고 있으며, 문예지 [시와늪] 명예고문 및 심사위원, [문예감성] 심사위원, [출판과 문학] 편집고문 및 심사위원, 한국수필가협회 이사, 현대작가회 수필분과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경남신문 객원논설위원과 경남IT포럼 회장을 역임했다.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부 명예교수(경영학 박사)이다.

 

설탕과 매실을 켜켜이 담은 용기는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실내에 3~5개월 숙성시키면 만사형통이다. 이렇게 1~2개월 지나고 들여다보면 설탕이 녹아 바닥에 두꺼운 침전물층이 생기고 위쪽엔 매실이 둥둥 떠 있는 모양을 띈다. 이럴 때는 주걱이나 별도로 준비해 둔 깨끗한 나무 막대기를 이용해서 휘휘 저어 바닥의 침전물(설탕)을 녹여 줘야 한다. 이 작업이 처음에는 힘이 들더라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되풀이해 주어야 한다. 그렇게 몇 차례에 걸쳐 거듭해서 저어주면 침전되었던 설탕 덩이가 완전히 풀어져 다시 응고되지 않는다. 한편 우리 집에서는 5개월까지 숙성시키지 않고 100일 안팎의 시간이 흐르면 개봉하여 가는 체*로 거른다. 이때 불순물과 매실은 버리고 순수한 진액은 적당한 용기(유리병)에 나눠 담아 냉장고에 보관하면 끝이다.

매실을 담아 숙성시키기 위해 보관하는 동안 밀폐시켜야 할 뚜껑을 어설프게 여닫으면 예기치 못한 봉변을 당할 위험이 도사리고 있어 조심해야 한다. 뜻하지 않은 초파리가 창궐해 몽땅 폐기 처분하는 불상사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아마도 10여 년 전의 일이다. 지금 중학교 2학년인 손주 유진이가 유치원 다닐 때였다. 그 어느 해인가 매실을 담가놓고 덜떨어진 할아버지와 철부지인 손주가 죽이 맞아 매실 통을 몇 차례 열어봤다. 그리고 느슨하게 닫아 둔 채 무심코 지냈던 모양이다. 시간이 지나 거르려고 뚜껑을 여는 순간 기절할 뻔했다. 작은 초파리가 수없이 날아올랐고 통 속에는 하얀 초파리 애벌레가 셀 수 없을 만큼 많이 꼬물거려 정신이 아득했다. 어쩔 도리가 없어 한 통을 통째로 하수구에 쏟아버리고 다른 한 통의 것만 겨우 건질 수 있었다. 이처럼 해괴하고 웃픈* 경험을 서울에 사는 처형 댁에서도 똑같이 했었다는 아내의 귀띔이다. 그 이후 숙성시키는 동안 그것을 담은 용기는 커다란 비닐봉지를 뒤집어씌우고 입구를 철저하게 밀봉해 둔다.

사람들은 매실청보다 개 복숭아 청이 더 이롭다면서 그를 찾으려고 시장 바닥을 뒤지거나 산야로 나서 직접 채취하려고 든다. 그런데 나는 개 복숭아 청이 몸에 좋을지 몰라도 맛이 써서 썩 내키지 않는다. 언젠가 등산길에 개복숭아를 만나 한 봉지 따와서 매실에 섞어 담았다가 쓴맛에 정나미가 떨어졌다. 그해 담았던 것을 완전히 먹어치우기까지 고개를 절레절레 저으며 씨름을 한 뒤로는 개 복숭아는 철저하게 외면해 오고 있다. 예로부터 몸에 좋은 것은 입에 쓰게 마련이라고했거늘 따르지 못하는 내가 진정 모자라는 반편이라서 그럴까.

 

매실이 어떻게 좋은지 여기저기 자료를 넘겨다봤다. 매실에 유기산(有機酸)이 많이 함유되어 피로 회복에 좋으며, 꾸준히 섭취하면 알칼리성 체질을 유지하여 체질 개선의 효과가 있고, 피루브산(pyruvic acid) 성분이 간장을 보호하고 간 기능을 향상시킨단다. 한편 매실에 함유된 피크린산(picric acid)이 해독작용을 해 음식물의 독, 핏속의 독, 물의 독 등의 해독작용이 뛰어나고, 소화불량이나 위장 장애에 효험이 있으며, 카테킨(catechin) 성분이 장내의 나쁜 균 번식을 억제함으로써 만성 변비에 좋고, 열을 내리거나 염증을 없애주는 역할을 한다는 얘기이다. 아울러 피부 미용에 좋으며, 칼슘의 흡수율을 높여주며, 강력한 살충과 살균 작용을 한다는 주장을 하지만 문외한으로서 어디까지 믿어야 할지 마냥 헷갈린다.

_‘매실청을 담그며중에서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